본문 바로가기

똑똑한 정보

서울 버스요금 현금 내면 환승도 안되네

반응형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조정되면서 이제는 대중교통을 조금 더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 같아 오랜만에 시내 구경을 다녀오기로 했습니다.

 

출발하기 전에 서울 버스요금 현금으로 확인해볼까요? 물론 교통카드를 이용하기는 하지만 현금으로 지불하면 얼마일까 궁금해져서 찾아보았답니다. 

우선 서울 버스노선은 운행특성에 따라 색상으로 구분해서 운영 중인데요. 외곽이나 도심 부도심을 중심으로 지역끼리 연계를 해주는 파란색 간선 BUS(아이들은 타요로 많이 알고 있지요). 간선과 지하철을 연계해주는 지선 BUS(초록이 -> 로기), 수도권과 도심을 연결해주는 광역 BUS(빨가니까 -> 가니), 주로 시내 업무 쇼핑통행을 담당하는 순환 BUS(유치원 색으로 착각할만한 노라니까 -> 라니), 심야에 활동하시는 분들을 위한 심야 BUS(짙은 바랑)이 있습니다.

 

각 특징별로 연계되어 환승까지도 가능하며 시내 중심은 물론 경기도 외곽까지도 쉽고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하답니다.

그럼 제일 중요한 서울 버스요금은 얼마일까요? 5개 노선이 모두 다른데요 교통카드 기준으로 알려드리면 간선지선 일반 1,200원 청소년 720원 어린이 450원 / 순환 1,100원, 광역 2,300원 / 심야 2,150원이랍니다. 

 

현금으로 지불하면 100원 정도 비싸게 내야하는데요. 물론 환승할인도 적용받을 수 없기 때문에 피치 못할 사정이 아닌 경우는 반드시 카드를 이용하시는 게 유리하겠지요? 

 

 

 

출퇴근시간 차량이 많은 시내의 경우 약속시간에 늦게 도착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요. 정시에 운행하는 지하철로 갈아타 환승할인까지 받는것은 더없이 좋은 방법이랍니다. 단, 현금 탑승의 경우는 안된다는 점 유념해주세요.

 

10km까지는 기본요금이 적용되고 5km마다 100원씩의 추가요금이 적용된답니다. 또한 이동 교통수단 중 높은 것을 적용받게 되고요. 

 

교통카드 잔액은 250원 이상 유지되어야 오류없이 이용할 수 있고, 동일 번호의 서울 버스를 탑승할 경우 환승 요금을 적용받지 못하는 것도 확인해주세요. 즉 버스는 1번 버스를 이용 후 반드시 2번 버스로 갈아타야 한답니다.

 

여러명이 함께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받지만 승하차 인원이 동일해야 해요. 단, 지하철로 다인승 환승은 안된다는 점도 기억하시고요. 

 

서울 버스요금 어린이의 경우 만 6세미만 영유아는 보호자가 동반하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요. 애국지사 및 국가유공자(1~7급)는 신분증 소지할 경우 무임승차가 허용된답니다. 하지만 광역과 마을버스는 안되네요. 

 

오전 6시30분 이전에 이용할 경우 조조할인도 받을 수 있답니다.(심야버스 제외)

 

이렇게 서울시내 어디나 원하는 곳까지 편리하게 BUS로 투어를 떠나볼까요.

반응형